세상에 없던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고
적극 공유하는
플랫폼 기업
차별 없는 쉬운 접근과 선량한 참여를 보장하는 플랫폼
신뢰와 안전성을 최우선으로 하는 디지털헬스케어 플랫폼
건강 100세 사회를 위한 건강정보 플랫폼
케이더봄 디지털 헬스 솔루션 라인업을 소개합니다.
개인 정신건강 서비스
케이더봄만의
플랫폼 서비스를 소개합니다.
맞춤형 서비스
고객사에 니즈에 맞게
디자인, 커스터마이징이 가능
프로젝트, 협업
프로젝트, 협업 등의 소통수단으로
손쉬운 공유방식과, 빠른 검색
확장성
모바일 플랫폼 기반 확장과
기업 내부의 사용자 범위 확대
강력한 보안
모든 데이터 암호화 처리와
사용자별 권한 기능 제공
케이더봄의
새로운 소식을 바로 만나보세요.
관리자
약 자판기 상용화 길 열렸다…화상투약기 '규제 특례 승인'
출처 : 의협신문 - 약 자판기 상용화 길 열렸다…화상투약기 \'규제 특례 승인\' (doctorsnews.co.kr)일반의약품 스마트 화상 판매기, 일명 화상투약기(약 자판기)에 대한 규제특례 안건이 통과됐다. 온라인 플랫폼을 통한 국내 의료진의 재외국민 대상 비대면 진료 서비스에 대해서도 \'임시 허가\' 승인이 났다..중략.한편, 같은 날 \'임시 승인\' 결정을 받은 재외국민 대상 비대면 진료 서비스 (케이더봄)도 주목된다. 의료법상 의료인은 환자와 비대면으로 상담·조언 불가능하다. 이번 승인에 따라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국내 의료진이 재외국민 대상 비대면 진료 서비스 제공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했다.과기부는 \"양질의 국내 의료서비스를 재외국민에게 제공해 의료접근성을 제고한다\"며 기대효과를 밝혔다.특히 최근 \'비대면 진료\'에 대한 이슈가 뜨거운 가운데, 재외국민을 대상으로 한 서비스가 규제 특례를 임시적으로나마 승인받은 것이어서 향후 제도화 물결에도 영향을 끼칠 지 귀추가 주목된다..중략.끝으로 \"전문의약품 조제기를 병·의원 내 설치하도록 장려해 위생적이고 정확한 조제가 이뤄지고 더 빠른 원외 약제 서비스가 정착돼야 한다\"면서 \"전문의약품 투약기까지 보편적으로 도입되도록 의약분업제도 개선까지 논의가 확대되길 기대한다. 이것이 바로 국민 건강을 위한 규제 개혁\"이라고 강조했다.출처 : 의협신문(http://www.doctorsnews.co.kr)
관리자
심야·공휴일 원격상담 후 약 구입…'의약품자판기' 샌드박스로 승인
출처 : 심야·공휴일 원격상담 후 약 구입…\'의약품자판기\' 샌드박스로 승인 (naver.com)(서울=뉴스1) 윤지원 기자 = 심야시간 및 공휴일에도 약사의 원격상담을 거쳐 약품을 구입할 수 있는 약품 화상 판매기가 실증에 돌입한다..중략.또 Δ인공지능(AI) 안면인식 기술을 활용한 비대면 성인인증 서비스(SKT) Δ재외국민 대상 비대면 진료 서비스(케이더봄) Δ행정·공공기관 및 민간기관 등의 모바일 전자고지(국민은행 컨소시엄) Δ자동복구 누전차단기 기반 원격 전원제어 시스템(에이앤씨랩) Δ모바일 운전면허 확인 서비스(삼성전자) 등의 과제가 임시허가를 받았다.과기정통부는 이번 심의를 포함해 지난 2019년 1월 ICT 규제샌드박스 제도 시행 이후 총 146건의 과제를 승인했다고 밝혔다. 이중 임시허가가 58건, 실증특례가 88건이었다.윤지원 기자(g1@news1.kr)
관리자
조선대병원, 재외한인 대상 '비대면 원격진료' MOU 체결
출처 : 조선대병원, 재외한인 대상 \'비대면 원격진료\' MOU 체결 (naver.com)조선대병원(병원장 김경종)은 최근 ㈜케이더봄(서강대학교 산학 공동사업화 법인)과 재외한인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원격의료서비스 필요성을 같이 인식하고 \'재외한인동포를 위한 원격의료지원사업 협약식\'을 가졌다.,,중략..조선대병원 김경종 병원장은 \"혁신적 의료시스템과 플랫폼을 통해 재외한인들에게 실시간 건강관리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은 물론 모국을 방문하는 한인 회원들에게 건강검진 우대 프로그램도 준비하겠다\"고 말했다.
케이더봄과 함께 시작해 보세요